YOUNG-OCK KIM 김영옥(S-Korea):

Present

Professor, College of Fine Art, Hongik University, Seoul

Education

B.F.A. Department of Metal Crafts at HongIk University

M.F.A. Department of Metal Crafts at HongIk University

M.F.A. Department of Metal Smithing & Jewelry Design at Tylor School of Art, Temple University

Ph.D. Department of Metal Design at HanYang University

Solo Exhibitions (15Times Including)

1987 Metal Crafts Show (Elkins Gallery, Philadelphia, U.S.A)

1989 Young-ock, Kim Metal Craft Show (Gallery Hyundai, Seoul)

1998 Young-ock, Kim Metal Craft Show (Hyundai Art Hall, Busan) Young-ock, Kim Metal Craft Show in Life (Choi's Metal Works Store, Seoul)

2001 Young-ock, Kim Metal Craft Show (Hyomin Gallery, Busan) 2002 Hidden Energy Unified : Eat/West (Center Culturel Coreen, Paris, France) Hidden Energy Unified : Eat/West (Picasso Gallery, Busan)

2005 Cool & Artificial and Nature Young-ock, Kim Metal Craft Show (Simin Gallery, Busan) 2009 Young-ock, Kim Teapots & Living ContainersⅠ(Simin Gallery, Busan)

2009 Young-ock, Kim Teapots & Living ContainersⅡ(Gallery Pfo, Busan) 2011 Young-ock, Kim Teapots & Living ContainersⅢ(Gallery Pfo, Busan)

2012 Manif 18!12 Seoul Young-ock, Kim Metal Craft Show (Seoul Art Center,Seoul) 2014 Light Projection (Kumho Museum, Seoul)

2014 Teapots with Nature (Gana Art Center, Seoul)

2015 Berries on the Hill (Space Cotton Seed, Singapore) 2017 23th 2017 MANIF SEOUL (Seoul Art Center, Seoul)

2017 Youngock, Kim Metal Craft Show (Noblesse Collection, Seoul)

Group Exhibition

Over 200 Invitational and Group Exhibitions

2015 Korean Crafts 2015 (Korean Cultural Center Shanghai, Shanghai, China)

2015 Korea Now! (Museum of Decorative Arts, Paris, France)

2018 Korean Crafts_The Art of Workmanship (Olympic Park Livesite, Gangneung, Korea) 2020 ‘技·氣·器’展 (Space Keumchae, Seoul)

2021 Cheongju Craft Biennale

2021 (Culture Factory and Cheongju City, Cheongju, Korea)

김영옥:

현재 홍익대학교 금속조형디자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김영옥은 전통적 단조기법을 이용한 공예 작업과 금속조형 작업을 동시에 진행 하며 넓은 역량을 보여주고 있는 금속조형 작가이자 공예가이다.

홍익대학교 공예과에서 금속공예를 배우고 홍익대 대학원에서 금속조형을 공부하였으며,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으며 미국 타일러 스쿨 오브 아트(템플 대학원)에서 금속조형을 공부하였다.

공간구조의 개념에 관심이 있었던 김영옥은 1987년 수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조형작업을 시작하였다. 또한, 2000년대 부터 빛의 투영 작업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수직과 수평의 그리드 구조를 이루는 설치작품으로, 작품의  한 가운데에 기물을 둠으로써 금속에 반사된 빛으로 기물의 형태를 강조하는 작품이다. 보편적인 은공예작업들이 주로 소형 작업으로 진행되었다면, 빛의 투영 작업에서는 전통적인 기물을 대형 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관람자의 직접적인 교감을 시도한다.

귀국 후 부산 동의대 교수로 활동하면서 부산에 발달한 다도문화를 접하였고, 한국의 주전자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2005년부터 은으로 된 그릇과 주전자를 발표하기 시작했으며, 2015년 파리 장식미술관에서 개최된 한불수교기념 한국공예전<코리아 나우!>에서 단아하고 심플한 주전자 작품들을 전시하였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기념전에서 전시한 언덕 위 열매들(Berries on the Hill)은 뚜껑에 작은 열매 장식이 달린 둥근 형태의 찻주전자이다.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망치질을 통해 어느 것 하나 흐트러짐 없이 조화를 이루는 완벽한 형태를 지닌 주전자를 제작한다. 그러나 여기에 자연의 아주 작은 일부분을 장식적 요소로 가미하여, 빈틈없는 기형에 작은 여유로움과 친근함이 느껴지도록 했다.

김영옥은 한국의 전통적인 기형 안에 담긴 한국인의 미의식을 연구하며, 작품을 통해 사용자가 실생활 중에 공예의 기품을 느낄 수 있게 한다.

김영옥은 15회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가나아트센터, 금호미술관, 예술의 전당, 미국, 파리, 싱가포르 등에서 전시를 하였고,  상하이문화원과 파리장식미술관, 평창동계올림픽 기념전시, 청주공예비엔날레 등의 200여회의 단체전에 참가하였다.

Previous
Previous

Eunsook Lee

Next
Next

David Gerlach